반응형
프로젝트 명 | 뛰다 | |
프로젝트 목적 | 생활체육 인구의 증가로 체육 시설 예약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OpenAPI로 받아 온 체육 시설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시설을 검색ㆍ예약하고 관련된 문의나 후기를 남기고 관리자는 시설물 정보와 사용자의 문의/후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육시설 예약 서비스입니다. |
|
작업 기간 | 2024.01.15 - 2024.02.19 | |
작업 인원 | 4명 (팀장 : 박재용, 팀원 : 엄다빈, 이승준, 정유진) | |
개발 환경 | Windows | |
사용 언어 | Front-End | HTML(Thymeleaf), CSS, JavaScript, jQuery 3.7.0, BootStrap 5.3, Figma |
Back-End | Spring Boot 3.2.2, JAVA 17, MySQL 8.0.32, lombok 1.18.30, Spring data JPA 3.2.2, Spring Security 6, Spring Boot Validation 3.2.2 Spring Boot DevTools 3.2.2, HttpClient 4.5.13, JSON simple 1.1.1 |
|
구현한 부분 소개 | [Front] - 로그인 - [이용자/관리자] 회원가입 - [이용자] 메인 페이지 - [이용자] 뛰맵(시설지도) - KAKAO Maps API 연동 - [이용자/관리자] header - [이용자/관리자] footer [Back] - 로그인/로그아웃 - 회원가입 - [이용자] 메인 시설검색/추천시설 - [이용자] 뛰맵 시설 검색 - [이용자] 내 정보 조회 - [이용자] 비밀번호 변경 - 공유누리 OpenAPI 팀장으로 전체 프로젝트 일정 및 팀원 진행 사항 관리를 했습니다. 전체적인 CSS 및 레이아웃 관리와 관리자, 이용자의 Header / Footer 컴포넌트를 제작했습니다. 스프링 시큐리티 세션기반 로그인/로그아웃 환경을 구성 및 커스터마이징하고 이용자 / 관리자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로그인 유저의 데이터를 각 페이지에서 쓸 수 있게 구현하고, 마이 페이지 기능으로 내정보 조회와 비밀번호 변경 로직을 구현했습니다. 공유누리 Open API 데이터를 호출하여 통합 검색 예약 및 상세페이지에 연동하고 다중카테고리 검색을 구현했습니다. 메인 페이지에서 시설을 다중 카테고리로 검색하고, 추천 시설 목록을 필터링하여 슬라이드로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공유누리와 KAKAO MAPS API를 함께 활용하여 시설 지도뷰(뛰맵)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
|
프로젝트 후기 | 프로젝트 “뛰다”를 진행하면서 항상 실무에 임하는 것 같은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프로젝트의 매 순간들을 겪으며 앞으로 실무에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 때 GitHub 데스크톱으로 형상관리를 하면서 그 방식에 익숙해져 있었는데 소스트리와 풀 리퀘스트라는 새로운 툴과 방식으로 형상관리를 하려고 하니 조금 번거롭다는 생각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해서 쓰다 보니 더 가볍고 브랜치 관리가 직관적이라 훨씬 팀 적인 형상관리가 편했습니다. 이런 사소한 부분에서도 배움이 있었습니다. 개발자로서 새로운 기술이나 방식에 거부감보다는 도전하는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다짐을 했습니다. 1차 배포 때는 전날 밤 AWS 배포에 성공하고 안심하고 있었는데 다음 날 아침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스턴스 서버가 중지되어 배포 마감 기한 맞추지 못했었습니다. 알고 보니 프리티어 서버의 메모리 제한 때문에 발생한 이슈였는데, 실제 실무에서도 배포나 안정화 등의 직무를 수행할 때 예상할 수 없는 에러가 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유의하고 최대한 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젝트 초반 팀장으로서 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환경을 최대한 빨리 구현해서 팀원들이 로그인 유저 데이터를 연동해서 쓸 수 있게 도와주면서 완벽한 프로젝트를 만들어야겠다는 의욕이 앞서 주말 3일간 거의 밤을 새우며 배우지 않은 부분들까지 독학하면서 달렸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무리하게 진행한 일정은 기능 구현도 완벽하지 못했고, 주중까지 영향이 가서 효율적으로 일정을 진행하지 못하는 역효과만 났었습니다. 파이널 프로젝트인 데다가 팀장이라는 부담감에 이런 시행착오를 겪으며 느낀 건 역시 프로젝트는 하루 이틀 밤새며 모든 걸 쏟아내고 멈추는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 개발 일정에 맞춰 꾸준히 페이스 조절을 하면서 진행에 차질이 없게 팀원들이 함께 호흡을 맞춰 달리는 팀 마라톤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할 때마다 기술적으로도 내면적으로도 매번 성장하는 저 자신을 되돌아보게 됩니다. 배우는 과정에서의 프로젝트는 이제 마지막에 도착했지만, 개발자로서는 이제 출발점에 섰기 때문에 항상 꾸준하고 겸손한 자세로 더 배워가려고 합니다. |
배포 | Github | |
URL | http://3.34.49.62:9999 관리자 아이디 : admin / 비밀번호 : 11 사용자 아이디 : user1 / 비밀번호 : 11 |
https://github.com/cpcpcool/ddida |
반응형
'미니 프로젝트 > 시설물 대여 예약 서비스(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물 대여, 예약 서비스] 프로젝트 뛰다 - README.md (0) | 2024.04.23 |
---|---|
[뛰다 프로젝트] 스케쥴 / notion / 회의록 / 일일 점검표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