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30724 ~ p230824 : JAVA
p230724
Test : 출력
TypeEx01 : 자료형 이론
TypeEx02 : 변수
p230725
Variable : 변수
TypeEx01 : 자료형 + 변수
TypeEx02 : 문자형
TypeEx03 : 실수형
TypeEx04 : 논리형
TypeEx05 : 문자열 변수
OperatorEx01 : 대입 연산자
OperatorEx02 : 산술 연산자
OperatorEx03 : 복합 대입 연산자
OperatorEx04 : 관계 / 논리연산자
OperatorEx05 : 1증가 연산자
OperatorEx06 : 1 선증가 후증가 연산자
OperatorEx07 : 상항 연산자
ScannerEx01 : 스캐너 객체
ScannerQuiz01 : 입력받은 두 수의 합구하기
ScannerQuiz02 : Scanner 과제 및 풀이(두 수 중 큰 수 찾기)
p230726
ScannerEx01 : 스캐너 String 문자열 입출력/ next, nextLine 메서드 입력기준
/ Enter : CRLF 의미
ScannerQuiz01 : 2 정수 중 큰 값출력 (*nd)
Print : 개행문자 \n
CastingEx01 : 형변환 - 리터럴 접미사 F, L
/ 자료형에 따른 자동 형변환(=묵시적 형변환), 강제 형변환(=명시적 형변환)
CastingEx02 : CPU 연산에서의 형변환 연산 중 정수,실수 관련
CastingEx03 : 강제 형변환이 필요한 관련 예외들 (작은타입->큰타입 이지만 음수표현x - char)
/ (실수 -> 정수)
IfEx01, 02 : 조건 1개 if문
IfEx03 : 조건 2개 if문
IfEx04 : 조건 3개 이상 if문
IfEx05 : if ~ else를 else if로 축약 예시
IfEx06 : 스캐너 입력 활용한 조건문 예시들 3방법 (if-else, if-if, 삼항연산자,
IfEx07 : 조건문 활용 점수 등급
IfQuiz01 : 사용자에게 정수 2개 입력 받은 후, 큰값과 작은값을 모두 출력 (*nd)
IfQuiz02 : 성별(1, 2)을 입력 받은 후 남인지 여인지 출력 (*nd)
IfQuiz03 : 점수를 입력 받은 후, 성적등급 출력 (*nd)
IfQuiz03Refactoring : 점수를 입력 받은 후, 성적등급 출력 char활용 리팩토링, F에 + 0 - 가 안붙게 (*nnd)
p230727
SwitchEx01 : 조건문 switch문 기본 문법
SwitchEx02 : switch문 String 참조형 예시
SwitchQuiz01 : 월을 입력 받은후, 계절을 출력 (*nd)
SwitchQuiz02 : 제공된 if문을 switch문 으로 변경 (*nd)
SwitchQuiz03 : 정수 2개와 사칙연산 기호를 입력받은 후 계산식과 계산결과 출력 (*nd)
RandomEx01 : Math.random() 메서드
RandomEx02 : 랜덤 메서드 (int)형변환후 랜덤값 도출 예시
SwitchQuiz04 : 컴퓨터와 가위바위보 게임 (Random메서드 활용) (*nd)
WhileEx01 : 반복문 while 기본 문법
WhileEx02 : while문에서의 무한루프(loop) 활용 / break;
WhileEx03 : while문에서 continue 활용예시 while문 내 if문 활용 짝수/홀수 구분
WhileEx03Refactoring : while문 내 if문 활용 짝수/활수 구분 / continue없이
p230728
WhileEx01 : 반복문 while문 사용하여, 1 ~10 출력
WhileEx02 : 구구단 2단 출력 (while)ㅁ
ㅁ
WhileQuiz01 : 1 ~ 10 덧셈결과 출력 (*nd)
WhileQuiz02 : 1 ~ 10사이 정수 입력받은 후 컴퓨터가 랜덤으로 1~10 정수값 생성,
사용자 입력 정수를 맞추기까지의 횟수출력 (*nd)
WhileQuiz03 : 사용자에게 정수 입력받아, 누적합 출력 (*nd)
ForEx01 : 반복문 for문 기본문법 및 while과의 비교
ForEx02 : 구구단 2단 출력 (for)
ForEx03 : 0727 WhileEx03을 for문으로 코딩
ForEx04 : for문에서의 무한루프(loop)
NestedLoopEx01 : 중첩반복문 for - for / while - while 등
NestedLoopEx02 : 중첩반복문에서의 outer: 활용
NestedLoopEx03 : 중첩반복문에서 지역변수
NestedLoopQuiz01 : 구구단 2 ~ 9 단 출력 (중첩 for문) (*nd)
NestedLoopQuiz02 : 구구단 2 ~ 9 단 출력 (중첩 while문) (*nd)
NestedLoopQuiz03 : 중첩 for문 사용하여 아래 출력 (*nd)
100
010
001
NestedLoopQuiz04 : 구구단 짝수 단과 홀수 단을 0, 1 입력받아 출력 (입력 후에도 입력 반복되게) (*nd)
p230731
MethodEx01 : 메서드 기능, 동작 / 메서드 정의 및 메서드 호출 / [매개변수 O, 리턴 X 메서드]
MethodEx02 : [매개변수 O, 리턴 O 메서드]
MethodEx03 : [매개변수 X, 리턴 X 메서드]
MethodEx04 : [매개변수 X, 리턴 O 메서드]
MethodEx05 : 메서드 정의 시 매개변수의 type 필수!
MethodEx06 : 지역변수 (local variable) / stack 자료구조 개념 /
MethodEx07 : 반복문(while, for)에서의 지역변수
MethodEx08 : 메서드 오버로딩 (method overloading) : 같은 이름의 메서드 여러개 정의
MethodQuiz01 : add메서드정의 2~5 /5~2 누적합 동일하게 출력하기 (*nd)
p230801
MethodEx01 : 메서드 add, sub 그리고 메서드에서의 형변환
MethodEx02,
MethodEx02Refactoring : 메인 메서드 내 공통된 명령어들을 increment 1증가 메서드로 만들고,
증가된 값을 메인 메서드 내의 지역변수에 대입해 메인에서도 증가값을 유지시키기
MethodEx02Refactoring02 : alt + shift + m : 기존 메서드 리팩토링
MethodEx03 : 메서드에서의 return 값특성, return은 한 값만 but, String형태 리턴에서 " ~~ " + str 문자열 뒤에 +는 컨캣 컴파일 시 하나의 문자열로 취급 = 값 1개
MethodQuiz01 : 매개변수 정수 1개 입력받아 제곱값 출력 메서드 (*nd)
MethodQuiz02 : 인수로 정수 2개 입력받아 몫 출력하는 메서드 (*nd)
MethodQuiz03 : ! 팩토리얼 메서드 인수로 정수 1개를 입력받아, 팩토리얼 결과 출력 메서드 (*nd) * 재귀메서드!
InstanceEx01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개론 object / instance, 클래스 구조- 멤버변수, 멤버메서드
참조자료형 (reference type), 클래스 생성 - 참조변수 선언 - 객체 생성
RAM의 heap 영역 자료구조, 인스턴스의 멤버메서 호출
*stack에서의 주소를 복사해 heap의 객체 데이터로 접근하는 간접접근,
garbage collection
InstanceEx02 : 클래스 내 멤버 메서드를 통한 멤버변수로의 내부접근 (입력 / 출력) setter / getter,
외부접근 / 내부접근
p230802
InstanceEx01 : 클래스 멤버변수/메서드 setter getter 활용
InstanceEx02 : 클래스는 생성 객체의 type(타입) 같은 타입의 다른 객체는 heap의 별도의 영역에 할당(다른 주소 가짐)
InstanceEx03 : 같은 폴더 내 같은 이름의 클래스 존재불가;
InstanceEx04 : 멤버변수 전체의 getter / setter 생성, setter 통한 멤버 외부접근
InstanceEx05 : getter/setter 단축키생성, 새 참조변수에 기존 참조변수 정보 대입가능. 데이터 복사됨
InstanceEx06 : 생성 인스턴스를 "참조형 매개변수"로 활용하는 메서드
InstanceEx07 : 반환형(리턴형)이 참조형인 메서드
InstanceQuiz01 : 반환형이 참조형인 메서드를 호출할 때 객체생성 후 멤버변수(필드)값들 지정 (*nd)
p230803
ConstructorEx01 : 생성자의 정의와 특성, 생성자 내의 생성자호출 활용
ConstructorEx02 : 생성자의 매개변수와 형태가 일치해야 객체 생성자 생성/호출 가능
ConstructorQuiz01 : 생성자 내 생성자 호출 통한 생성자 (메서드) 오버로딩 (+필드 데이터 기본값 입력) (*nd)
ArrayEx01 : 배열 기본 정의 및 특성, 문법, 1차원 배열, 우리반 학생들의 수학점수 저장 예시
ArrayEx01CleanCode : 배열의 길이가 자동으로 저장되는 변수 : length, 배열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방식,
for문을 통한 배열 출력, 향상된 for문 문법
ArrayEx02 : 2차원 배열 문법, 데이터 입력 출력 방식, 일반 for문(+ length), 향상 for문 활용한 2차원 배열출력 (*nd)
p230804
ArrayEx02Develop : 2차원 배열 향상된 for문으로 출력하기(*yd)
ArrayEx02CleanCode : 배열관련 재정리 (1차원/2차원 배열 생성방식) (*yd)
ArrayEx03 : 2차원 배열 생성실습 + 향상 for문 출력 (*yd)
ArrayInstanceEx01 : 객체 배열 Array Instance : 배열에 클래스 객체를 생성활용
ArrayInstanceEx02 : 객체 배열 생성 / 출력 (과일 이름 개수)
StringEx01 : 문자열 String class의 메커니즘 / constant의 문자열 리터럴이 같은지 교하는 .equals( ) 메서드
/ String 객체 배열 생성, 출력
StringEx02 : main 메서드의 인수 입력을 통한 String 문자열 배열개념 이해
/ 공백을 기준으로 개수 나뉘기 때문에 한 덩이로 묶기 위해서는 " " 사용
StringEx03 : print()시 String 출력 / .toString();
WrapperClassEx01 : wrapper 클래스 int --> Integer / Integer --> int 예시
p230807
ForEx01 : 향상된 for문 배열 출력
ForEx02 : 향상된 for문 객체배열 출
FinalEx01 : 키워드 final, 변수의 상수 constant 화
FinalEx02 : 인스턴스 변수의 final 값입력 가능 / 불가능
StaticEx01 : static변수, static메서드의 정의 및 특성
StaticEx02 : static 영역 할당된 static 변수가 공유되는 특성
StaticEx03 : final static field(변수)
StaticEx04 : static / non-static 메서드에서 다른 static/non-static (field 접근/ method호출)의 가능여부
StaticEx05 : main method가 속한 클래스 내의 instance field와 static field
/ main method가 속해있는 클래스 타입 객체생성 main내에 가능
StaticEx06 : 파일 클래스를 타입으로 가지는 static final 참조형 객체 생성
InheritanceEx01 : 상속 (inheritance) 개념, 부모class(super)와 자식class(sub), method overriding,
InheritanceEx02 : 상속 시 주의사항 - 매개변수가 없는 기본 생성자 명시필요
p230808
Quiz01(평가) : 1~10 사이의 정수 입력 n! 팩토리얼 값 출력 (*nd)
Quiz02(평가) : 컴퓨터의 1~10사이 정수 랜덤값 업다운 맞추기 게임 (*nd)
Quiz03(평가) : 인스턴스 1차원 배열을 활용한 stack 자료구조 구현 (*nd)
InheritanceEx01 : 상속 자식class의 method overriding (메서드 재정의)
InheritanceEx02 : 모든 클래스의 최상위 부모클래스 'object' / 참조주소.toString
InheritanceEx03 : 상속 IS-A -(부모class)는 (자식class)이다 / HAS-A -소유(포함)관계 : containment 형태 표현
TestA/B/C/D/E : 접근제어자 (access modifier) private / default / protected / public 접근 가능여부 차이
p230809
Quiz01_2 : 1~10 사이의 정수 입력 n! 팩토리얼 값 출력 !재귀메서드 활용 (*yd)
ModifierEx01 : class에 설정가능한 접근권한 public(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대표 class만) / default
Circle/CircleArea/CirclePerimeter : 각 다른 package에 저장되어 있는 class를 Circle에 객체 생성 및 메서드 호출, import, 접근제어자
InheritanceEx01 : final 키워드가 사용가능한예시 / 상속 관계시 final의 영향 / 어노테이션 '@'
InheritanceQuiz01 : 메서드 오버라이딩, 자식 생성자를 이용하여 부모class의 count field에 값 입력 (*nd)
package polymorphism Ex01 : 다형성 polymorphism /
p230810
Fruit(pack.modifier)/ConstructorModifier : 생성자의 접근권한 private 시 객체생성 및 불가 및 값 입력 불가
Ex01(pack.polymorphism) : 다형성, 부모자료형 참조변수 = new 자식자료형 / 다형성 배열, 자식 클래스 다형성 여러개를
배열형태로 / 상속 관계에서의 형변환 / 참조변수를 통한 형변환 / up/down-casting
/ instanceof / [문제] 다형성으로 구현된 객체 배열의 메서드 호출, 향상for문으로 구현 (*nd)
Ex02(pack.polymorphism) : Object x // class자식 객체가 - 하나의 부모class 메서드 매개변수(Object x)로 업캐스팅
Ex03(pack.polymorphism) : Object는 모든 class의 부모라 public class객체들은 모두 받음. 부모클래스의 매개변수로 \
자식클래스들만을 인수로 받기
Ex04(pack.polymorphism.Quiz) : 객체형태 매개변수를 통해 인스턴스 인수를 받아 출력되는 메서드를 정의하기 (*nd)
p230811
Ex01(pack.polymorphism) : Product class를 상속한 Tv, Computer class와 buyer class 활용 가전제품 구입예시
Ex01Quiz(pack.polymorphism) : 상속관련 코드에서 길이가 10인 배열을 추가에 구매한 가전제품 정보가 저장되게 하고,
summary method를 추가해 구매한 가전제품 정보(총금액, 제품명)출력 (*nd)
Ex01(pack.abstractclass) : 추상 클래스 abstract class, 추상메서드 abstract method 정의 특징
Ex02(pack.abstractclass) : 추상 클래스를 상속 받은 자식class는 반드시 추상클래스 오버라이딩 필요
AbstractQuiz(pack.abstractclass) : animalPlay() 메서드 정의 부모 추상 클래스를 통한 다형성활용 문제 (*nd)
Ex01(pack.interfacetype) : 인터페이스 interface, 클래스class 간의 상속 법칙(extends 와 implements)
Ex02(pack.interfacetype) : 참조형 ' interface' 특징 / 인터페이스의 멤버 변수, 멤버 메서드의 특징
인터페이스 멤버 변수 예시
Ex03(pack.interfacetype) : 인터페이스 멤버 메서드 예시
p230814
Ex04(pack.polymorphism.quiz) : 추상메서드 다형성으로 활용 (*nd)
EmptyString : String 빈문자열 체크 관련 메서드 ( .equals(), .length(), .isEmpty(), .isBlank() )
Ex01(pack.interfacetype) : interface 메서드
Ex02(pack.interfacetype),
Ex03(pack.interfacetype) : interface는 인스턴스 생성이 안되기 때문에/ 필드변수가 final이므로 생성자를 가지지못하고 생성자를 통해 멤버변수에 접근이 불가능
Hello(pack.interfacetype),
InterfaceMethodModifier : interface 메소드와 접근제어자, 서로 다른패키지에 있는 파일 활용 예시 인터페이스의InterfaceQuiz(pack.interface.quiz) : class -> interface 코드변경 (*nd)
Ex01(pack.exception),
Ex02(pack.exception) : 예외 처리 설명, try~catch활용한 직접처리법
p230816
Ex01(pack.exception),
Ex02(pack.exception) : 0814와 동일
Ex03(pack.exception) : 예외처리 throws 전가 활용 *0을 분모로 하는 계산불능 - ArithmeticException
Ex04(pack.exception) : try~catch~finally 추가 문법관련 / index범위 외 예외 -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Ex05(pack.exception) : throws 전가 시 exception 추가 관련 법칙들 / 일단 예외 발생시 뒤는 실행하지않는 법칙
/ .printStackTrace() : stack에 쌓여있는 정보 추적해 출력 메서드
Ex06(pack.exception) : main() 메서드도 JVM 자바버츄얼머신에 전가 가능 하긴 함
Ex07(pack.exception) : Exception class 직접 정의하기 *음수를 입력하면 예외발생
/ throw new (Instance) -특정 조건에 맞춰 예외인스턴스를 생성후 일부러 예외를 발생시켜 던짐
/ extends Exception / Throwable 통한 예외 메시지 출력
ExceptionQuiz : 예외처리 반복문 출력문제 Tread.sleep() / InterruptedException (*nd)
ExceptionQuiz02 : 예외클래스 문제-이름입력받아 출력, 이름이 한글자만 입력될 경우 예외처리 "잘못된 입력출력" (*nd)
p230817
Ex01(pack.pattern) : private 생성자가 있는 class는 객체생성 불가
Ex02(pack.pattern) : 인스턴스 생성하는 메서드를 가진 class를 type으로 메서드호출 가능
Ex03(pack.pattern) : private static으로 하나의 class type 객체를 생성하여 외부에서 클래스의 private 필드에 접근
Ex01(pack.enumtype) : switch~case 문 이용한 정수 입력, 문자열 출력
Ex02(pack.enumtype) : interface의 final field를 활용해 상수를 관리 / case 'interface.field'
Ex03(pack.enumtype) : 상수를 관리하기 위한 class / class 내 public static final 객체생성을 통한 'Class명.참조주소'
Ex04(pack.enumtype) : Type - 열거형 enum : 관련있는 상수들을 관리하기 위한 타입
Ex05(pack.enumtype) : 참조변수명이 그대로 저장되는 enum의 필드 상수 / 외부 인스턴스 생성불가 특징
/ enum의 메서드 .getDeclaringClass() : 해당 참조변수의 class명을 return
.name() : 열거형의 상수값 return
.values() : 열거형에 있는 상수들을 배열 형태로 return
.ordinal() : 열거형 상수에 순서대로 부여되는 정수값 왼쪽부터 고유 0, 1, 2, ....
Ex06(pack.enumtype) : enum 내부에서 생성자를 통해 상수 필드에 설정 값을 부여하는 방식
Ex07(pack.enumtype) : enum 상수마다 다른 생성자 호출형태일때의 예시 *(자동으로 0, null)
EnumQuiz(pack.enumtype) : enum 상수에 생성자를 통해 문자열값 입력후 그대로 출력하기 (*nd)
Ex01(pack.generic) : 제네릭 generic의 정의, 특징 / 문법 및 사용 예시
p230818
Ex01(pack.generic) : 제네릭 메서드 generic method
Ex02(pack.generic) : 제네릭 클래스 generic class 특징
Ex03(pack.generic) : generic type 타입에 제한두기 extends (interface / class)
Ex04(pack.generic) : generic / ? unbounded wildcard - extends, super 상한선 하한선 설정
Ex05(pack.generic),
Ex06(pack.generic) : generic에서 다형성 불가, <? extends ~>, <? super ~>
Ex07(pack.generic) : 자식 generic type을 부모 type도 따라감.
Ex08(pack.generic) : 자식 generic type을 부모 type도 따라감 (interface 예시)
Ex09(pack.generic) : generic type으로는 배열생성 불가
Ex10(pack.generic) : class로 길이가 3인 배열생성, showArray() 메서드를 호출하여 출력
p230821
Ex01(pack.collection) : ArrayList 어레이리스트, List 리스트
/ collection 관련 메서드 ( isEmpty(), add(), size(), get(), contains(), toArray(), equals(), set() )
/ Iterator 관련 ( iterator(), hasNext(), next(), Itr )
ArrayListQuiz : ArrayList에 객체 요소를 추가하고 다양한 메서드 활용 문제 (*nd)
p230822
Ex01(pack.generic) : 배열 복사 / shallow copy 얕은복사, deep copy 깊은 복사
Ex02(pack.generic) : 배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법 1. deep copy 활용, 2. Arrays.copyOf() 메서드 활용
/ Arrays.toString()
Ex03(pack.generic) : ArrayList 복사 / clone()메서드 /
Ex04(pack.generic) : LinkedList
p230823
Ex01(pack.collection),
Ex02(pack.collection) : 해쉬셋 HashSet - add() = hashCode().equals() 의 오버라이딩 필요경우
Ex03(pack.collection),
Ex04(pack.collection) : 해쉬맵 HashMap <K, V> Key와 Value / put(), keySet(), values()
p230824
Ex01(pack.collection) : 배열 복사 복습 / shallow copy, deep copy / .copyOf() 메서드
Ex02(pack.collection) : ArrayList 복사 의 얕은 복사, 깊은복사 / .clone메서드 복사 관련
p230825 ~ p230830 : 기획 (Design-Thinking Project)
p230825 ~ p230830
★ 디자인 띵킹 프로젝트
기획서 작성 프로젝트
p230831 ~ p231006 : front - end
p230831
★ front-end 시작!
- 인터넷 기본
- HTML, CSS, JS 기본 개념
- VScode 설치 / 확장(extensions) / 세팅 / 바로가기키(shortcut)
-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element와 태그 tag 개념
- html, head, body HTML 기본 형태
- 트리 계층구조 DOM(Document Object Model) : 문서 객체 모델
- meta 태그 *(description, robots, viewport, http-equiv 등)
- <html lang="">
- <p>
- <strong / em / mark>
- block level / inline level
p230901
- HTML 태그
(<a>, <dfn-abbr-cite-small>, <iframe>, <hr>, <heading>, <img>, <list>, <table>, <pre>)
p230904
- form 태그
- template HTML 기본구조
p230905
- HTML 기본구조
- CSS
p230906
- [CSS]
- font / text
p230907
- [CSS]
- text / list / border / width / height / box-model / background / background-image
p230908
- [CSS]
- background / layout-float / overflow / layout-position
p230918
- [CSS]
- layout-position / webaccess / position-absolute/sticky / responsive
p230919
- [CSS]
- 반응형 웹(web-responsive)
- layout (display: grid;)
p230920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시작
- 자료형
- 문자열 함수 string function
- 배열 Array
- 객체 Object
- [구조분해 할당]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제하여 개별 변수에 저장 (배열 / 객체)
- js 연산자
- 경고 / 확인 / 입력 창
p230921
- [JS]
- 조건문 (if / switch)
- 반복문 (while / do~while / for in문 / for of문 / for)\
- 함수 [내장함수, 사용자정의 함수(함수선언식), 익명함수(함수표현식) ]
- 가변 인수 argument
- rest parameter( ...변수명 ) 매개변수가 받지 못한 나머지 인수들의 배열 표현
- 중첩 함수 : 익명함수를 통째로 인수로
-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JAVA의 Lambda식)
p230922
- [JS]
- 변수 종류 (var / let / const)
- 호이스팅 hoisting
- 영역 scope / 전역변수, 지역변수 / var-함수레벨 스코프 / let,const-블럭레벨 스코프
- lexical scope : 상위영역 순차별 훑기 체인연결
- callback 함수 (함수 매개변수가 함수명을 받음 => 함수 내에서 함수호출용 / 비동기처리 목적 )
- closure 영역 (함수가 정의되었을 때의 환경을 기억하는 함수 기록이 누적되는 복사된 scope영역)
- DOM 접근 기초
p230925
- [JS]
- 객체 object 축약표현
- DOM 접근 (특정 element 찾아가기)
- event (jQuery / listener)
- form
p230926
- [JS]
- JS실습(동적처리 기능)
- (JS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 추가) JSON형태 - 객체 사이의 변환 (직렬화) .json
- Local Storage
- filter 함수
- 객체의 Boolean
p230927
- [React]
- 리액트 React 문법(JSX)
- 리액트 엘리먼트 React element
- 컴포넌트 Component
- 리액트에서의 event
p231004
- [React]
- state 상태 (함수 useState(), 상태끌어올리기 lifting state)
- validation (유효성) 검증
- local storage에 저장
p231005
- [React]
- local storage
- json 정의로 local storage에 편하게 저장하기
- 배포 (github, git, repository 원격저장소)
- 배열 함수 array function
- 모듈 module (외부 파일문법)
p231006
- [React]
- 모듈 module (외부 모듈 export / import)
- node.js
- npm 명령어: node package manager
- Webpack
- 배포용 프로덕션
p231010 ~ : DB DataBase
p231010
[DB DataBase]
- [MySQL]
- MySQL 기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
- table과 그 요소(tuple, column, domain, key, …)
- select문, LIMIT
- operator
p231011
[DB DataBase]
- select where
- operator 연산자
- order by
- DBMS 함수
p231012
[DB DataBase]
- DB - SQL - DML – select
- 문자열 함수
- 날짜, 시간 관련 함수
- 그룹함수
- 집계함수
- 조인 join
- 서브쿼리 subquery (중첩서브쿼리, 인라인뷰, 스칼라)
- 데이터 export
p231013
[DB DataBase]
- 퀴즈풀이(그룹함수, 집계함수, 조인, 서브쿼리)
- * create (DDL) (DB생성, table 생성, 복사, 구조복사)
- DB MySQL자료형
p231016
[DB DataBase]
- *create 생성 (DDL)
- 제약조건 (PK, FK, not null, unique, auto_increment, …)
- 컬럼레벨방식, 테이블레벨방식
- alter 변경 (DDL)
- drop 삭제 (DDL)
- insert
p231017
[DB DataBase]
- DML 변경관련(insert추가, update수정, delete삭제)
- DCL 제어어 (rollback취소, commit 완료)
- 사용자user 추가, 삭제 (localhost, ‘%’)
p231017
[DB DataBase]
- 사용자 user 추가, 삭제 (localhost, ‘%’)
- grant / revoke
- 관계설정
- index
p231018
[DB] MySQL
- 사용자 user 추가, 삭제 (localhost, ‘%’)
- grant / revoke
- 관계설정
- index
p231019
[DB] MySQL
- index
- view
- join 유형
p231020
[DB] MySQL
- ERD (Workbench)
- .sql (query, mysqldump)
- DB 평가
p231023
[DB] MySQL
- 평가 피드백 (DB SQL)
- ERD (ERD-CLOUD)
- ERD 제작실습
p231024
[응용SW 개발]
-React 관련 기반 설치
p231025
[응용SW 개발]
- 컴포넌트 component / 외부 컴포넌트 사이트 (디자인요소) / API
p231026
[응용SW 개발]
- API (TMDB 실습) / React API 활용 (useEffect, useState, grid, Fragments 등)
- ** Mini Project Start (React SPA)
p231027
[응용SW 개발]
- API (TMDB 실습) - antd(Ant-design) 활용 (Grid, Col, Row, Card) - useState(), useEffet(), fetch(), .then 등
p231030
[응용SW 개발]
- 리액트 SPA 실습